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관련174

[GIT] 초기 Git 소스 가져오는 방법 Git을 외부에서 가져오기 위해서는 다음의 순서를 따라야 한다.1. Git init- Git init 명령어로 Git 저장소를 먼저 생성한다.2. Git clone xxx[경로]- Git의 경로에서 소스를 복제한다.이러한 단계를 거치면 간단하게 소스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2017. 4. 22.
온라인 컴파일러 (coliru) 소개. 보통 개발자들은 각자의 컴퓨터에 컴파일러 하나쯤은 가지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자기 환경이 아닐 때나, 외부에서 간단하게 코드의 결과를 확인하고 싶을 때 컴파일러가 없어서 아쉬웠던 경험이 한 두번 쯤은 있을 것이다. 이때, 온라인 컴파일러를 이용한다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이번에는 많은 온라인 컴파일러 중에서 coliru를 소개하고자 한다. 온라인에서 coliru를 검색하면 바로 링크가 뜬다. 구성을 보면 굉장히 심플하다. 흰 화면은 코드를 입력하는 창이고, 코드를 모두 입력했다면 우측 하단에 Compile, link and run 버튼을 누르면 된다. 문제가 없다면 아래 창에서 코드에 대한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간단하게 사용하는 데 유용한 컴파일러라고 생각한다. 또한,.. 2017. 4. 20.
컴파일(Compile), 링킹 각각의 소개 먼저, 컴파일이란 개발자들이 특정한 프로그래밍언어(예 : C, C++, Object-C등)을 사용해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 코드(이진코드)로 변환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밑에 그림을 참고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컴파일의 역할을 좀더 정확하게 말하면, 컴퓨터와 그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운영체제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 코드로 변환하는 일을 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컴퓨터라 할지라도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와 리눅스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는 같은 애플리케이션이라도 컴파일된 결과물은 다릅니다. 그 이유는 윈도우나 리눅스 등의 OS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소스 코드들은 컴파일러에 의해서 기계어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되어 오브젝트 코드로 저장됩니다. 이.. 2017. 4. 19.
범용 레지스터 각각의 이름과 용도 범용 레지스터 각각의 이름, 용도 [그림1] 범용 레지스터- 16-bit 시절에는 AX, BX, CX, DX 등으로 레지스터를 불렀지만 32bit로 시스템 구조가 변경되면서 앞에 'E'를 붙이는 형식으로 사용되고 있다.EAX - 피연산자와 연산 결과의 저장소EBX - DS segment안의 데이터를 가리키는 포인터 ECX - 문자열 처리나 루프를 위한 카운터EDX - I/O 포인터ESI - DS 레지스터가 가리키는 data segment 내의 어느 데이터를 가리키고 이있는 포인터. 문자열 처리에서 source를 가리킴.EDI - ES 레지스터가 가리키고 있는 data segment 내의 어느 데이터를 가리키고 있는 포인터. 문자열 처리에서 destination을 가리킴.ESP - SS 레지스터가 가리키는.. 2017.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