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쳐폰 시절에는 통신망이 좋지 않으면, 그러려니 하던 시절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워낙 속도가 빠르신 시절이 아니었기 떄문이었죠.
하지만, 스마트폰으로 바뀌면서 속도가 굉장히 중요한 시대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래서, 통신이 안되거나, 인터넷이 조금만 느려도 바로 '왜 안되는거지' 라는 생각이 드니깐요.
이러한 속도가 느리게 되는 이유는 여러 문제가 있을 것입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요소인 수신감도가 낮으면 속도는 느릴 수 밖에 없겠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신감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소개하려고 합니다.
수신감도를 확인해보자! |
일단,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수신감도를 확인하려면 Debug Screen 모드로 들어가야 합니다. 이 모드를 들어가는 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먼저, 통화 앱을 누른 후, 다이얼 패드로 *123456# 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Debug Screen 모드로 이동할 것입니다.
혹시나, 안되시면 통화버튼을 눌러보시기 바랍니다.
LTE 수신감도를 확인하는 방법! |
먼저, LTE 수신감도를 확인하도록 할께요.
위에 탭들이 보일 것인데, 여기서 LTE 탭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나머지 정보는 볼 필요는 없고, 아래 네모로 표시한 부분만 보면 되겠습니다.
각 용어들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RSSI : 단말기에 수신되는 모든 파워의 총 크기를 말합니다. 때문에, 신호 세기에 인접한 채널간의 간섭 및 열 잡음도 포함됩니다.
RSRQ : 단말에 수신되는 파워 대비 Reference Signal 파워의 비율을 뜻합니다.
따라서, 구하는 계산식은 RSRQ = (RSRP/RSSI) * RB 가 되겠습니다.
4G에 들어가면서 통신 감도의 척도가 되는 값이라고 하네요.
RSRP : 단말에 수신되는 Reference Signal의 파워를 뜻합니다. 보통 이 값을 수신감도를 체크하는데 이용합니다.
이 값은 3G에 들어오면서 통신 감도의 척도가 되는 값이라고 하네요.
● x에 본인의 값을 대입하셔서 확인하세요.
RSSI |
RSRQ(dB) |
RSRP(dBm) |
|
기술명 |
LTE / 3G |
LTE |
LTE |
아주 좋음 |
x > -65 |
x > -5 |
x > -84 |
좋음 |
-65 < x < -75 |
-6 < x < -10 |
-85 < x < -102 |
보통 |
-75 < x < -85 |
-6 < x < -10 |
-103 < x < -111 |
나쁨 |
x < -85 |
x < -11 |
x < -112 |
그럼, 저의 경우를 위에 표로 확인해볼까요.
저는 RSRP : -90 / RSRQ : -13 / RSSI : -56 로 측정되었습니다.
RSRP는 좋음, RSRQ는 나쁨, RSSI는 아주 좋음이네요. 사실, 수신감도는 RSRP를 중점으로 보면 되기 때문에, RSRP만 보면 좋음이네요.
직접 해보시면, 어느 지역은 수치가 높고, 어느 지역은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거는 직접 인터넷을 해봐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FI 수신감도를 확인하는 방법! |
WIFI는 위에 탭 중에서, 세 번쨰에 위치한 탭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거에요.
WIFI에서도 RSSI로 속도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SSI는 단말기에 받는 신호의 상대적인 값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절대적인 값이 아닙니다.
신호 감도에 따른 값은 아래 표를 확인해주세요.
신호 감도 |
상태 |
-30 dBm |
아주 좋음 |
-67 dBm |
좋음 |
-70 dBm |
보통 |
-80 dBm |
나쁨 |
-90 dBm |
아주 나쁨 |
저는 -20 dBM으로 측정되었는데, 아주 좋은 상태이네요. 사실, WIFI 기기 바로 앞에서 측정한거라..
아무튼 재미로 측정해보시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저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또는 구독 버튼 한번씩 눌러주세요!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폰트 타입, OTF 와 TTF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OTF와 TTF 변환 사이트 소개!) (1) | 2019.08.28 |
---|---|
한컴오피스 (한글 프로그램) 폰트 글꼴 추가하는 방법 feat. 배스킨라빈스 글꼴 (2) | 2019.08.27 |
구글 알리미로 매일 특정 키워드의 최신 정보를 받아보는 방법 (1) | 2019.07.27 |
RSS 피드 구독하여 정기적으로 정보를 받는 방법 (feedly 사용) (2) | 2019.07.21 |
구글(Google) 고급 연산자를 이용하여 더욱 정확한 구글링을 해보자. (0) | 2019.07.20 |
댓글